광명역 주차장, 어디가 제일 싸고 편할까? A~D 주차장 비교 정리!
A주차장(서편 1번출구)과 B주차장(서편 4번 출구)이 가장 가깝고, B주차 빌딩과 C주차장이 비슷하게 좀 멀리 있다.
예시) 29시간, 그러니까 하루하고도 5시간이 지난 시간 동안 주차를 했을 경우
A주차장 : 15,000 X 2=30,000원의 30% 할인 = 21,000원 B주차장 : 17,000 X 2=34,000원 또는 모두의 주차장 2일 연박권 29,000원 C주차장 : 17,000 X 2=34,000원 또는 모두의 주차장 2일 연박권 27,000원 D주차장 : 17,000 X 2=34,000원 또는 모두의 주차장 2일 연박권 27,000원 |
하루 이상, 광명역 B~D 주차장을 이용할 때에는 모두의 주차장 어플을 이용하는 것이 무조건 이득이다.
게시 순서가 곧 추천 순서이다. 왜 그런지는 아래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시길.


광명역 주차장으로 가장 인기가 많은 곳은 A주차장이다. 왜냐하면 서편 1번 출구와도 가깝고 무엇보다 요금이 다른 주차장들보다 저렴하기 때문이다. A주차장에는 3층 규모의 소형 주차 건물과, 야외에 구획이 나뉘어진 주차 구역이 함께 마련되어 있다.
이곳은 코레일이 운영하기 때문에 열차 이용객은 30%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애인, 국가유공자, 고엽제후유증환자, 1000cc 미만 경차, 친환경 자동차는 50% 할인을 받을 수 있는데 출차 시 신분증 인식기를 통해 확인 이 되면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무료 회차시간은 15분이고, 현장에서 승차권을 예매하거나 변경, 반환한 고객은 30분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24시간 무인으로 운영되고 출차시 출구 정산기를 통해 카드 결제를 하면 된다.


A주차장은 코레일톡( iOS / Android )의 주차 정보로 실시간 주차 가능대수와 해당 날짜의 예상 혼잡도까지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주말 이용객이라면 집에서 출발하기 전에 한 번 더 확인을 하고 대안을 생각하며 가는 것이 좋다. 어플의 예상 혼잡도 그래프를 보면 일요일 야간과 월요일 오전을 제외하고는 많이 혼잡한 편이다.
B 주차장 : 편하다
– 주차면수: 1,807면
– 무료회차: 10분
– 기본요금: 30분 2,400원
– 추가요금: 10분당 600원
– 1일: 17,000원 (모두의 주차장 14,000원)


B주차장은 빌딩으로 되어있다. 광명역 서편 4번 출구 앞에 있어 가깝고 주차빌딩이라 날씨의 영향이 없다는 이점이 큰 곳이다. 지하 2층, 지상 3층에 옥상까지 주차공간이 매우 넓다.
물론 30분당 기본 요금과 10당 추가요금이 A주차장과 똑같지만, A주차장은 이용객 할인이 있으므로 요금이 실상 같은 것은 아니다. B주차장은 장애인, 국가유공자 50% 할인 외에는 어떤 할인도 없다.
그래서 당일, 혹은 2일 연박으로 주차를 하고자 한다면 무조건 모두의 주차장 어플을 이용하는 것이 이득이다.


왼쪽 사진은 실제로 내가 출차할 때 정산한 금액이고 오른쪽 사진은 나중에 알게된 정보이다. 5천원이나 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었는데 너무 아까웠다. 2일연박권은 1일권 X 2 에 1,000원이 더 추가된다. 1일권을 두 개 살 수는 없다.
D 주차장 : 하다
– 주차면수: 1,145면
– 무료회차: 10분
– 기본요금: 20분 1,200원
– 추가요금: 20분당 1,200원
– 1일: 17,000원(모두의 주차장 13,000원)
D주차장은 시설은 좋은데 반해 거리가 멀어 B주차장보다 매력이 떨어진다. 그래서 모두의 주차장 1일권도 천원이 더 싸다. 광명역에서 큰 길 건너에 위치해 있는데 다행히도 육교가 있어 신호등을 기다릴 필요는 없다.
C 주차장 : 다
– 주차면수: 323면
– 무료회차: 10분
– 기본요금: 30분 2,400원
– 추가요금: 20분당 1,400원
– 1일: 17,000원(모두의 주차장 13,000원)
C주차장은 D주차장과 조건이 같지만 시설면에서 차이가 난다. 위치는 광명역보다 코스트코와 더 가깝다. 한마디로 거리와 시설 두 마리 토끼를 못 잡은 곳이랄까. 모두의 주차장 1일권 요금도 천원이 더 싸지만 A,B,D가 만차가 아니라면 선택할 것 같지 않다.